티스토리 뷰

반응형

2013년 유네스코에서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김치를 지정했습니다. 그간 일본과 중국에서 서로 자기들이 김치의 원류라고 주장을 했는데요.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김치는 대한민국이 원조라는 것을 세계적으로 인정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점점 김장을 담그는 인구가 줄어들면서, 사회적으로 김장이란 것이 사라져가는 요즘 이제 우리의 문화인 김치가 사라지나 했었는데요. 2017년 제1회 월드 김치 페스티벌이 열립니다. 이 행사는 한국의 김장 문화를 대한민국 국민, 재외한인 그리고 세계인에게 알리기 위해 11월 한 달간 카자흐스탄, 프랑스, 일본, 한국에서 순차적으로 열린다고 합니다.


날짜 및 시간: 20171124() ~ 25() 11:00 ~ 19:00

장소 : MBC 상암 문화 광장 / 서울시 마포구 성암로 267


날짜가 11월 말인 것을 보면 이미 한국 이외의 나라에서는 페스티벌이 열린 것 같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1. 김치 담그기


사전 참가 신청을 받아서, 신청자에 한해서 김장 김치를 담그는 행사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공짜면 좋겠지만, 참가비가 있습니다. 참가비는 2만원이고, 참가 시 1인당 10kg의 김치를 담아갈 수 있습니다


https://onoffmix.com/event/118197



위 주소는 김치 담그기 참가 신청 주소입니다. 날짜 별로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24일은 오후 2~3, 25일은 오전 11~ 12시 그리고 오후 2~ 32회입니다.
한 아이디 당 1회만 참가 신청이 가능하므로, 더 필요하신 분들은 다른 아이디로 신청해야 합니다. 김치 담그기 동반 참여 인원은 최대 4명까지 가능합니다. 신청 시, 동반 인원수를 적어달라고 하네요.


또한, 담은 김치는 현장에서 택배 발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비록, 유료이긴 하지만 김치 담그느라 피곤해진 몸인데 집까지 김치를 들고 가면 엄청 힘들 것 같습니다. 참가 시 제공되는 재료가 배추만 10kg에 양념 4kg니까 들고 집까지 가는 것은 불가능하겠죠?


<김치 페스티벌 페이지에서 발췌한 이미지 입니다. http://2017wkf.onoffmix.com/>


원래 24일에도 오전 11~ 12시 코스가 있었는데, 불우이웃 돕기 나눔 행사로 변경이 되었다고 합니다. 기존 신청자들은 환불을 해준다고 하니, 2411시 타임 신청자 분들은 환불 신청을 해야 할 것 입니다

만약, 신청을 했다가 취소하는 경우 환불 수수료 2500원이 발생하는 점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김치 품평회 시상식

국산 김치 우수 브랜드에 대한 품평회와 시상식을 한다는데요. 입상한 김치들을 현장에서 시식 및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3. 수제 막걸리 축제



<김치 페스티벌 페이지에서 발췌한 이미지 입니다. http://2017wkf.onoffmix.com/>


술을 좋아하는 저로선, 김치 담그기 축제보다는 이 쪽이 훨씬 매력적입니다. 자기 손으로 직접 막걸리를 빚을 수 있는데요.
수제 막걸리 빚기 100인 퍼포먼스는 2224일 금요일 오후 4~ 5 1회만 실시합니다. 참가비는 1만원이며, 참가자들에게는 빚은 술과 단체 티셔츠가 제공됩니다.
또한, 막걸리 미니 강좌(수제 막걸리 빚기 체험)의 경우 1125() 오전 11~ 12, 오후 2~ 32회만 진행되며, 참가비는 1만원입니다. 아쉽게도 이 부문은 참가자들에게 교재만 제공한다고 하네요


https://onoffmix.com/event/118203


제조하는 막걸리는 전통 누룩을 이용한 청감주라고 합니다.


4. 우수 김치재료 직거래 장터


행사장에서 절임 배추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최고의 김장재료를 특가에 판매한다고 합니다. 역시 현장에서 택배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료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김장을 담그시지 않은 분들이 있다면 이런 기회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외에도 국악 앙상블 아라연과 정선 아리랑을 토대로 극을 구성한 정선 아리랑 오케스트라의 무대 등 다양한 문화 공연이 펼쳐진다고 합니다.



주말 아이들과 함께 김치를 담으면서 전통 문화를 체험해 보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