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가 있는 집은 가급적 아이들이 어릴 때 다양한 경험을 시켜주기 위해 항상 고민을 하게 됩니다. 주말에 하는 일 없이 침대에 누워있거나, 티브이 시청을 하다 보면, 어느새 안타까운 하루가 금방 지나가 버립니다. 아이들과 딱히 놀아준 것도 아니고, 평일에 미뤄놓은 작업을 한 것도 아니라면, 아쉬움만 가득 합니다.
초등학생인 두 자녀를 두고 있는 저희 집도, 마찬가지 인데요. 매번 주말마다 어디론가 가고 싶은데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항상 ‘서울 근교 가보만 한 곳’ 같은 검색 어를 계속 확인해보게 되는데요. 주말이면 항상 차가 밀려, 서울 근교만 다녀와도 차에서 보낸 시간이 실제로 방문하는 시간보다 더 길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한번 검색해 보면 좋은 곳이 있습니다.
바로, 서울 특별시 공공 서비스 예약 사이트 입니다.
메인 페이지에는 다양한 형태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지역을 먼저 선택하거나, 분류(체육시설, 시설대관, 교육, 문화행사, 진료)를 먼저 선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약, 특정한 활동 이름으로 검색을 하고 싶다면 상단 통합 검색에 원하는 항목을 넣고 검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약 시에는 회원 / 비회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으로 예약을 원하시는 경우 공공 아이핀을 이용해서 본인 인증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공공 아이핀 시스템이 만들기가 좀 어렵습니다. 야심 차게 만든 것인데, 사실상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렇다 보니, 만들어 놓고 다음에 비밀 번호 등을 잊어버리면, 다시 찾는 것도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저는 회원가입을 했습니다. 회원 가입 페이지를 열면, 여기도 공공 아이핀이 나와서 의미가 없다고 느낄 수 있는데요. 여기에는 휴대폰 본인 인증도 제공합니다. 회원 가입을 하면, 다양한 서울시 관련 페이지를 하나의 아이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아직 공공기관 홈페이지는 윈도우10의 엣지(Edge)브라우저를 정상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크롬 같은 브라우저도 역시 제대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그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이용해야 합니다.
저는 좀 교육적인 체험을 아이들에게 시키기 위해, 교육 카테고리로 들어가 보았습니다. 현재 대략 2700여개의 항목이 나옵니다. 물론, 모든 것이 다 쓸만한 교육이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할만한 것들이 하나쯤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측에 ‘선택하신 리스트 더 보기’를 하면 상세 서비스 항목이 나옵니다. 교육 항목이라서 그런지 한강 공원 같은 곳에서 진행되는 생태 환경 체험이 많이 차지합니다. 날씨가 요즘 쌀쌀하고 갑자기 눈이나 비가 오는 경우 곤란할 수 있으니, 저는 실내에서 하는 체험을 찾아보았습니다. 아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알면, 방대한 정보 중에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저희는 아이들이 역사를 좋아해서(비록 장군과 전투지만) 역사를 찾아보았습니다.
벌써 예약이 종료된 서비스들도 많습니다. 괜찮은 체험을 원한다면, 미리미리 확인해보고 예약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마침, 아이가 백제 관련 책(만화책이지만)을 열심히 보고 있었는데요. 강동구 몽촌토성 한성 백제 박물관에서 진행되는 <토요 열린 박물관_석촌동 고분 쌓기>가 있어서 예약을 했습니다.
https://yeyak.seoul.go.kr/reservation/view.web?rsvsvcid=S171121094821051064
1시간 40분 정도 진행이 되는데요. 초등학생 동반 가족 2~4인까지 가능하며, 동반 가족일 경우 5세 이상 미취학 아동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료니까 더욱 마음에 듭니다.
하지만,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이라고 마구 잡이로 예약을 하면 자칫 페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깜빡 잊어버리고 무단으로 참석을 하지 않는 경우, 향후 6개월간 공공서비스예약 사용이 제한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곧 방학이 되는데요. 방학 중에 체험할 곳을 미리미리 예약해 놓는다면, 좀 더 의미 있는 방학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살아가는 이야기 > 이런지식 저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목아픔 예방법 (0) | 2018.01.21 |
---|---|
4차 산업 혁명을 준비하는 자세 (0) | 2017.12.08 |
2017 제1회 김치 페스티벌 소개 (0) | 2017.11.22 |
김장의 의미 (0) | 2017.11.22 |
겨울철 난방비 줄이는 팁 (0) | 2017.11.20 |